本书对韩语二重主语文和汉语主谓谓语句的句法结构做了较为全面的梳理,是针对两种句型的构成分析以及对比研究的最新成果。
本书内容涉及两种句型的定义、类型、分析方法等。针对分析方法的问题点进行了探讨,然后利用韩语和汉语语法中的主语论证法根据其语言特征重新确定句子的主语,并在此基础上确定谓语的论元结构、基本语序等,对句子成分的语序调整以及主语、宾语、附加词等成分的主题化现象进行了研究。接下来,对韩语二重主语文和汉语主谓谓语句的对应关系进行了分析,将韩语二重主语文和汉语主谓谓语句从传统的语法框架中分离出来,并根据本书的观点设立新的基本句型,将韩语和汉语的基本句型体系进行重组。考虑到韩语二重主语文和汉语主谓谓语句的实际使用情况,从话用层面重新分析了句法结构。最后分别从统辞、意义、话用三个层面将两种句型的特征、共同点以及不同点进行了概述。
本书有助于读者了解汉韩对比语言学的研究规律和方法,掌握汉语和韩语在语法上的关联与差异,较为深入的理解韩语二重主语文和汉语主谓谓语句在句法结构和实际应用方面的相关情况,为进一步的专题研究打下较为扎实的基础。
본 논문은 유표성 이론에 따라 한국어 이중주어문을 ‘NP1 은/는+NP2
이/가+VP’로, 중국어 주술술어문을 ‘S1+S2+VP’로 표시하고 두 문형의 정의, 유형, 분석 방법을 제시한 후 각각의 분석 방법의 문제점을 검토해보았다. 먼저 한국어와 중국어의 주어 검증법을 이용하여 두 언어의 특징에 맞추어 문장의 단일 주어를 찾아냈다. 각 유형의 단일 주어를 찾아내면서 서술어의 논항 구조, 기본 어순 등도 모두 확인하였다. 그리고 문장성분들의 순서 조정 현상을 관찰하면서 주어, 목적어, 부가어 등의 성분들을 주제화시키는 기제를 살펴보았다.
이어서 한국어 이중주어문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어 이중주어문의‘코끼리는 코가 길다.’류 구문은 서술어가 두 자리 서술어이고 문장 성분의 도치가 가능하며 타동사 구문과 평행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이 유형의 구문은 단일 주어 문장이며 새로운 기본문형으로 설정해야 한다. 즉 ‘NP1 은/는+NP2 이/가+VP’ 구문은 한국어의 기본문형에 추가되어야 한다. ‘토끼는 꾀가 많다.’류, ‘나는 호랑이가 무섭다.’류 구문도 이러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기본문형에 포함되어야 한다. 다만, ‘철수는 부모님이 돌아가셨다’처럼 어순의 바꿈이 허용되지 않은 문장들은 기본문형에서 제외된다. ‘생선은 붉돔이 좋다.’류 문장은 ‘NP2 가+VP’가 독자적으로 완전한 문장이 될 수 있으므로 ‘NP1’은 주어로 보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비논항인 ‘NP1 은/는’ 성분을 부가어로 보는 입장을 취한다. ‘내일날씨는 비가 온다.’류 구문도 마찬가지로 ‘NP2 가+VP’가 완전한 문장이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구문에서의 ‘NP1’ 성분은 문장 안에 들어갈 수 없고 논항 성분으로 분석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유형에서의 문두 성분은 고쳐 말하기 현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리고‘국어학은 취직이 어렵다.’류 구문의 경우 주어가 따로 있으나 문중에 출현하지 않았다고 보았다. 이때 문두 명사 ‘NP1’은 부사어로 간주하고‘NP1 은/는’ 성분은 부가어의 주제화라고 분석하며 문장을 부가어 성분의주제화를 통하여 도출된 유표적인 문장으로 분석하였다. ‘학생이 세 명이왔다.’류 구문 역시 단일 주어 문장이며 주어는 ‘NP1’이다. 그리고 ‘NP2’는 수량사로서 부사어로 이해하였다.그 다음에 중국어 주술술어문에 대해 살펴보았다. 중국어 주술술어문의‘他身体健康。’류 구문은 중국어 전형적인 타동사 구문과 같은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중국어의 기본문형으로 새롭게 추가해야 한다. 다만, ‘哲洙父母去世了。’와 같이 어순 도치가 불가능한 문장들은 기본문형에서 제외되어야 한다. ‘他一口水都不喝。’나 ‘一口水他都不喝。’류 구문들의 기본형은 동사술어문으로 볼 수 있다. 전치된 목적어를 원래 위치로 환원시키면무표적인 문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 유형에 속한 문장들을 목적어성분의 주제화를 통하여 도출된 유표적인 동사술어문으로 분석해야 한다.‘鱼,黄鱼最好吃。’류 구문의 경우 ‘S2+VP’가 완전한 문장으로 분석할 수있기 때문에 문두 성분 ‘S1’은 서술어의 논항 구조 이외의 성분으로 분석해야 한다. 문두 명사구 앞에 ‘对于, 关于’ 등 개사를 함축한다는 것으로해석된다는 점에서 이를 부사어로 분석하고 문장은 부가어 성분의 주제화로 인해 형성된 문장이라고 간주한다. ‘这副眼镜我看书用。’류 구문도 역시 주어가 하나뿐이며 도구, 시간, 장소 등을 표시한 명사 성분을 주어로분석할 수 없다. 이를 부사어로 해석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수량사가문중에 나타나는 것과 명사구 서술어를 가진 것은 ‘苹果三斤一块钱。’류구문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문장의 주어는 ‘S1’이며 ‘S2’ 성분을뺀 나머지 성분들만으로도 완전한 문장을 형성할 수 있다. 비주어 성분인‘S2’가 주어, 목적어, 서술어, 관형어일 가능성을 일일이 배제하고 나면이를 부사어 성분인 것으로 확정할 수 있다. ‘这个人我不认识他。’류 구문에서는 재지시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이 성분은 성분 간 자리 이동을 통해 원래의 목적어 자리로 돌아갈 수 있다. 그리고 재지시 성분을 뺀 나머지 성분들만으로도 완전한 문장을 실현할 수 있다. 즉 이 구문은 목적어성분이 문두에 나가 주제화된 것으로, 화자의 의지에 따라 강조의 의미를더하기 위하여 목적어가 대명사의 형태로 원래 자리에 다시 출현하는 것이다.
다음은 앞에 새롭게 분석한 한국어 이중주어문과 중국어 주술술어문의대응관계를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한국어 이중주어문과 중국어 주술술어문을 전통적인 틀에서 분리하여 본 논문의 주장에 따라 각각새로운 기본문형을 추가 설정함으로써 한국어와 중국어의 기본문형 체계를 재편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어서 한국어 이중주어문과 중국어 주술술어문의 사용양상을 고려하여 두 문형의 화용론적 응용 상황을 살펴보았고두 문형의 정체를 본 논문의 주장으로 다시 재해석을 하였다. 마지막 새롭게 해석된 한국어 이중주어문과 중국어 주술술어문의 특징, 공통점 그리고 차이점을 통사, 의미, 화용 세 측면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주요어: 한국어 이중주어문, 중국어 주술술어문, 단일 주어, 주제화, 기본문형
- 서론..............................................................................................1
1.1 연구대상 및 연구 필요성.................................................... 1
1.2 선행연구...............................................................................6
1.3 연구의 이론적 근거........................................................... 27
1.4 연구 방법...........................................................................30
1.5 예문 출처...........................................................................32
- 한국어 이중주어문에 관한 고찰................................................ 34
2.1 한국어 이중주어문의 정의 및 구성성분............................34
2.2 한국어 이중주어문의 유형.................................................46
2.3 한국어 이중주어문의 분석 방법 검토............................... 48
- 중국어 주술술어문에 관한 고찰................................................ 70
3.1 중국어 주술술어문의 정의 및 구성성분............................70
3.2 중국어 주술술어문의 유형.................................................82
3.3 중국어 주술술어문의 분석 방법 검토............................... 83
- 한국어 이중주어문과 중국어 주술술어문의 대조 연구........... 108
4.1 문장 분석의 두 가지 차원...............................................111
4.2 한국어 이중주어문의 해석...............................................118
4.3 중국어 주술술어문의 해석...............................................177
4.4 한국어 이중주어문과 중국어 주술술어문의 대조............237
4.5 한국어 이중주어문과 중국어 주술술어문의 화용(話用) 측면 고
찰.....................................................................................252
4.6 한국어 이중주어문과 중국어 주술술어문의 정체밝히기. 2694.7 한국어 이중주어문과 중국어 주술술어문의 특징............304
4.8 한국어 이중주어문과 중국어 주술술어문의 공통점과 차이점
검토................................................................................. 321
- 결론......................................................................................... 331
참고문헌....................................................................................... 345
- 논저................................................................................... 345
- 자료................................................................................... 356
中文摘要....................................................................................... 357표 목차
<표 1> 한국어 문장 구조 ·················································································· 114
<표 2> 중국어 문장 구조 ·················································································· 114
<표 3> 학자들이 한국어 이중주어문 유형에 대한 분류 ····················· 120
<표 4> 한국어 ‘가형 목적어’ 구문과 ‘를형 목적어’ 구문의 차이 ····· 157
<표 5> 학자들이 중국어 주술술어문 유형에 대한 분류 ··················· 180
<표 6> 중국어 ‘他身体健康。’류 구문과 동사술어문의 차이 ··························· 203
<표 7> 한국어 이중주어문의 분류 ·························································· 237
<표 8> 한국어 이중주어문의 해석 ···································································· 238
<표 9> 중국어 주술술어문의 분류 ·························································· 240
<표 10> 중국어 주술술어문의 해석 ···················································· 241
<표 11> 한국어 이중주어문과 중국어 주술술어문의 대응관계 1 ···· 247
<표 12> 한국어 이중주어문과 중국어 주술술어문의 대응관계 2 ···· 250
<표 13> 한국어 기본문형과 중국어 기본문형의 대조 ······················· 335
<표 14> 한국어 이중주어문의 문제점과 해결 방법 ····························· 337
<표 15> 중국어 주술술어문의 문제점과 해결 방법 ······················ 340
张孟璠,1989 年出生于山东省,女,汉族,现为四川文理学院外国语学院专任教师。
学术背景方面,2011 年在曲阜师范大学获得了文学学士学位,2013 年获得韩国嘉泉大学的文学硕士学位。在攻读博士学位期间深入研究了汉语与韩语的句法结构对比,并成功获得了首尔市立大学的文学博士学位。教学方面,长期致力于韩语发音、语法、阅读、写作以及韩语能力考试训练等教学工作,具有扎实的专业基础和丰富的教学经验。在课堂上,注重培养学生的创新思维和实践能力,采用多种教学方法和手段,激发学生的学习兴趣和积极性。科研方面,目前的研究主要集中在韩语教学法、中韩语言对比、对外话语的译介与传播等方面。承担相关省市级科研项目 6 项,在国内外重要学术期刊上发表了学术论文数篇。